본문 바로가기

생태주의3

생태주의 오랫동안 서양 철학에서는 인간과 자연을 대립적인 관계로 보았다. 그러나 생태주의는 이런 서양 근대의 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을 부정적으로 보았고, 경제성장과 문명 자체를 비판했다. 또한 성장론과 분배론 모두 결국 ‘성장을 통해 자연을 파괴하는 공통점'이 있다고 본다. 생태주의는 동양의 불교나 노장사상과 연결되는 면이 있다.     환경론, 환경주의라는 말을 오랫동안 썼는데 이제는 생태주의라고 부릅니다. 환경이라는 말에는 ‘주변 경관’이라는 뜻이 있죠. 그런데 '중심'이 있어야 주변도 있는 거잖아요? 그 중심이 바로 인간이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다시 말해, 환경이라는 단어에는 지극히 인간 중심적인 관점이 들어 있는 거예요. 그래서 지구 환경이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고 보는 쪽에서는 환경 대신에 ‘생태’.. 2024. 12. 10.
사회윤리와 개인윤리 개인의 비도덕적 행위의 원인에 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있다. 개인윤리의 관점에서는 비도덕적 행위가 개인의 내면적 비윤리성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즉 그 사람의 양심이 타락했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 사회윤리의 관점에서는 외적 요인에서 비도덕적 행위의 원인을 찾으며 사회의 비도덕성을 문제로 삼는다.      사회윤리와 개인윤리가 무엇인지는 몇몇 사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전통 사회에서는 흉년이 되면 도둑이 늘었다고 합니다. 보통 때엔 도둑이 아니던 사람들이 먹을 게 없어 도둑질을 했던 것입니다. 개인윤리의 관점이라면 “먹을 게 없다고 양심 없이 도둑질을 하면 되느냐”며 당사자를 비판할 것입니다. 반대로 사회윤리의 관점이라면 “흉년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먼저다.”라며 도둑의 입장을 이해할 것입니.. 2024. 11. 19.
사회유기체설organic conception of society 사회유기체설은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간주하며, 생물체나 생물의 진화라는 개념에 빗대어 사회를 파악한다. 기능주의적 관점과 연관 있는 사회 유기체설은 지배계급의 존재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이용되기도 했다. 사회유기체설은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여러 측면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까다로운 개념이기도 하다.     이번 이야기를 쉽게 읽어 내려가려면 사회유기체설은 다양한 관점과 연관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사회유기체설에 따르면 인간 사회는 인간의 신체와 유사한데, 각 부분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기능을 잘 수행하기만 한다면 사회는 조화롭게 움직인다고 봅니다. 그런 점에서 사회적 갈등을 부정적으로 보는 기능주의적 관점과 우선 연결됩니다.      그런데 갈등주의 시각에서도 유기체설을 다룹니다. .. 2024.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