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주의2

공리주의utilitarianism 공리주의는 유용성을 의미하는 utility에서 비롯되었는데 말 그대로 유용성과 효용성을 중시하는 개념이다. 18세기에 개인주의가 등장한 이후 19세기에는 개인주의가 심화하여 빈부 격차가 심해졌다. 공리주의는 이런 사회의 불안을 봉합하고 사회혁명을 예방하기 위해 등장했는데, 쾌락주의와 자유주의에 뿌리를 두면서도 그것에 변형을 가하여 복지 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이바지하기도 했다.      18세기 영국은 경제적으로는 산업혁명, 사회적으로는 시민혁명을 통해 근대적 시민사회를 수립했습니다. 19세기가 되자 영국은 해외 식민지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리게 되죠. 영국의 식민지가 아프리카부터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등에 걸쳐 있었으니 하루 24시간 내내 영국 땅 어.. 2024. 11. 20.
장자크 루소의 사회 계약론 장 자크 루소는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가이다. 비교적 이론의 성격이 분명한 홉스나 로크와는 달리, 루소의 이론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루소의 《에밀》은 가상의 소년 에밀이 자연 속에서 어떻게 스스로 도덕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스스로 도덕적이라 한 만큼 자율성을 강조하 는 시각이며, 성선설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루소는 자연 상태를 선하게만 보는 점에서 맹자의 성선설과는 다르다.장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년 6월 28일 ~ 1778년 7월 2일)는 스위스 제네바 공화국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사회계약론자이자 직접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계몽주의 철학자이다.   루소는 홉스와 로크를 비판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펼칩니다. 하지만 그의 이론은 매우 복잡.. 2024.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