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증주의2

실증주의 실증주의는 19세기 프랑스의 오쉬스트 콩트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사실로 증명된 것만을 인정하는 사상이다. 실증주의는 인간이 감각적이고 경험 적으로 실험과 관찰을 해서 사실로 증명해 낸 것만 인정하며, 항상 객관성을 추구한다. 실증주의는 기존의 형이상학을 전면적으로 거부했는데, 형이 상학이 사실이나 현상의 배후에 초월적인 존재나 원인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증주의는 인식의 대상을 경험적으로 주어진 사실로 제한한다.     실증주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실증주의는 형이상학을 부정했는데요. 형이상학은 “형체를 초월한 영역에 대한 것”이라는 이름 그대로 자연과학 이상의 것, 근본적인 어떤 것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주의 기원에 대해 형이상학에서는 신이나 다른 종교적 개념, 이데아 이론 등을 주장.. 2024. 12. 5.
사회윤리와 개인윤리 개인의 비도덕적 행위의 원인에 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있다. 개인윤리의 관점에서는 비도덕적 행위가 개인의 내면적 비윤리성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즉 그 사람의 양심이 타락했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 사회윤리의 관점에서는 외적 요인에서 비도덕적 행위의 원인을 찾으며 사회의 비도덕성을 문제로 삼는다.      사회윤리와 개인윤리가 무엇인지는 몇몇 사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전통 사회에서는 흉년이 되면 도둑이 늘었다고 합니다. 보통 때엔 도둑이 아니던 사람들이 먹을 게 없어 도둑질을 했던 것입니다. 개인윤리의 관점이라면 “먹을 게 없다고 양심 없이 도둑질을 하면 되느냐”며 당사자를 비판할 것입니다. 반대로 사회윤리의 관점이라면 “흉년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먼저다.”라며 도둑의 입장을 이해할 것입니.. 2024. 11. 19.